'중국어'에 해당되는 글 3건
-
2009.05.28
-
2009.05.18
-
2008.11.12
都是形容词。极有价值,很贵重,象珍宝似的。可以形容某些抽象的和具体的事物,如时间、书籍、礼物、资料等。
宝贵:除了可以形容某些具体东西以外,最常见的用来是形象抽象事物,如生命、经验、意见、贡献、遗产、财富等。
珍贵:指宝贵、稀少、珍奇。可形容某些抽象的事物(如友谊等),常用来形容具体的东西,如纪念品、文物等。
“宝贵”“珍贵”两词都是价值大,如珍宝一样贵重,都能形容某些具体的和抽象的事物,如书籍、资料、古画、礼物、纪念品、生命、时间、友谊、经验等。其明显的差别有两点:
1、“宝贵”的词义特征是贵重,价值极大。“珍贵”的词义特征是稀有的,珍奇,珍异、珍本、珍珠、珍禽都是罕见的、稀有的。因此,“宝贵的贡献、宝贵的理想、宝贵的人生”等强调价值大时,不宜用“珍贵”。 2、“宝贵”比“珍贵”更宜形容一些抽象的事物,如经验、知识、见解、启示、贡献、理想、思想、精神、品质、道德、风尚、追求、人生、遗产、财富等。 ⑴ 理想永远是宝贵的。(老舍《关于文学翻译工作的几点意见》)
⑵ 这些曲谱里面一定有不少的宝贵的遗产被包含着的。(郭沫若《吊星海》)
⑶ 我可以说我们比谁都更爱和平,更宝贵和平,更需要和平。(巴金《给西方作家的公开信》)
⑷ 这个纪念室里还有一部分珍贵的陈列品。(巴金《印象·感情·回忆》)
⑸ (孔子)以仁为标志的人本哲学思想体系,包含了至今仍不失光辉的珍贵因素。(匡来明《孔子评传》) ⑹ 我们在吃到好的珍贵东西的时候,常常舍不得一口咽下去,而喜欢咀嚼寻味。(秦牧《叠句的魅力》)
对于珍贵的文物,谁都不敢大意。
时间虽然很宝贵,但生命更宝贵。
记录
jìlù
[record;note;chronicle;register] 把听到的话或发生的事写下来
把她的印象在一套从书里记录下来
记录
jìlù
[record]∶记录下来的材料
采访记录
[score]∶在一定时期和范围内记载下来的最好成绩
保持纪录
[recorder]∶记录的人
选她当记录
记载 jì zǎi
(1) [entry;record;put down in writing]:把事情记录下来
例:其中有一条记载着一次对议长投了不信任票。
(2) [record]∶记录事情的文字
例:吴晗 《论中立》:“这些记载是激发民族思想的最好材料。”
连连”和“一连”的比较。请问各位有何高见?
汉语中的“连连”和“一连”两个词,词形相似,词义相近,都可作状语修饰动词或动
词短语,表示动作、行为、状态连续不断地进行或出现。如“连连点头”,“一连下了十几
天雨”,等等。但在实际使用中我们发现,这两个词很少能够相互替换。因此,何时该用
“连连”,何时该用“一连”,就成为汉语学习和使用中的一个难点和易错点。本文主要通
过比较“连连”和“一连”两个词的分布情况,试图找出某些规律,以期对这两个词的教学
提供一定借鉴。
(1) 直接修饰单个动词
“连连”和“一连”两个词主要用来描写动作、行为、状态出现的频率,因此它们最基本的
用法是作状语修饰动作动词和状态动词。我们先来考察修饰单个动词和最简单的动宾短语。
连连点头 *一连点头
连连称赞 *一连称赞
连连打哈欠 *一连打哈欠
连连眨巴眼 *一连眨巴眼
连连发动快攻 *一连发动快攻
连连发生意外 *一连发生意外
连连获胜 *一连获胜
连连亏损 *一连亏损
连连失误 *一连失误
连连得逞 *一连得逞
小结:由上述例子可知,“连连”可直接修饰单个动作动词或状态动词以及最简单的动宾短
语,表示动作、状态出现的频率高,间隔时间短;而“一连”不可直接修饰单个动词。
(2) 修饰带数量词的动词短语
我们已经知道,“一连”不能直接修饰单个动词和最简单的动宾短语。下面就来考察
“一连”的出现需要什么条件。
*连连演十场 一连演十场
*连连点三下头 一连点三下头
*连连打四五个哈欠 一连打四五个哈欠
*连连列举数条理由 一连列举数条理由
*连连生三个孩子 一连生三个孩子
*连连吃二十多个馒头 一连吃二十多个馒头
*连连冲走四五根木桩 一连冲走四五根木桩
*连连展出五天 一连展出五天
*连连下十几天雨 一连下十几天雨
*连连获胜五次 一连获胜五次
*连连出现两次奇迹 一连出现两次奇迹
*连连亏损数百万元 一连亏损数百万元
?连连倒退十多步 一连倒退十多步
?连连咳嗽七八声 一连咳嗽七八声
?连连发动几次快攻 一连发动几次快攻
小结:由上述例子可知,“一连”修饰动词或动词短语时,一般需要动词短语中出现表示次
数的动量词、表示个数的名量词、表示时段的时量词等数量词组与之配合,这时,“一连”
可以强调次数多、频率高、数额大、持续时间长等意义;而在这种情况下,一般不能使用
“连连”,即“连连”一般不可修饰带数量词的动词短语。(在表示约数时,有时似乎也可
使用“连连”,但总体来说,“连连”与数量词的搭配不像“一连”那样自然和具有普遍
性。)
(3) 与助词“着”的搭配限制
助词“着”可以加在某些动词后,表示动作行为正在进行或表示状态的持续。而“连
连”和“一连”可以作状语修饰动词,表示动作、行为、状态连续地进行或出现。这两种意
思互相并不矛盾。那么,对于能加“着”的动词,是否同时可以使用“连连”或“一连”来
修饰?下面我们来进行考察。
连连称赞着 *一连称赞着(好几次)
连连打着哈欠 *一连打着(四五个)哈欠
连连眨巴着眼 *一连眨巴着(七八下)眼
连连发动着快攻 *一连发动着(三次)快攻
连连发生着意外 *一连发生着(多次)意外
连连出现着奇迹 *一连出现着(两次)奇迹
小结:由上述例子可知,“连连”可以与“着”同时出现,并分别发挥其修饰动词时各自的
作用;而“一连”不能与“着”同时出现,这可能与“一连”需要数量词配合有关。
(4) 与助词“了”、“过”的搭配限制
以上我们考察了“连连”和“一连”与助词“着”的搭配限制,下面再来看看它们与
“了”、“过”的兼容性。
*连连演了十场 一连演了十场
*连连跑了五个商店 一连跑了五个商店
*连连发了(三封)信去催 一连发了三封信去催
*连连下了(十几天)雨 一连下了十几天雨
*连连获胜了(五次) 一连获胜了五次
?连连亏损了数百万元 一连亏损了数百万元
?连连咳嗽了七八声 一连咳嗽了七八声
?连连称赞了几句 一连称赞了几句
?连连点了几下头 一连点了几下头
*连连下过(十几天)雨 一连下过十几天雨
*连连获胜过(五次) 一连获胜过五次
*连连亏损过(数百万元) 一连亏损过数百万元
*连连出现过(两次)奇迹 一连出现过两次奇迹
*连连发过(三封)信去催 一连发过三封信去催
小结:由上述例子可知,“一连”修饰动词或动词短语时可加助词“了”,表示动作、行为
的近时结束,也可加助词“过”,表示远时结束,“一连”的作用不受影响;而“连连”一
般不能加“了”和“过”。(如(2)所述,在表示约数时,有时似乎也可使用“连连”,
这时加上“了”字好像更自然。)
(5) 直接修饰数量词
由前面的分析,我们可知“一连”与数量词关系密切,但前述例子中数量词都是出现在
动词短语中,与“一连”的联系是间接的。下面我们来考察“一连”与数量词能否直接联
系。
*连连三年 一连三年
*连连三四夜失眠 一连三四夜失眠
*连连几天的大风 一连几天的大风
*连连数月在寻找他 一连数月在寻找他
*连连两天他没有来 一连两天他没有来
*连连三个问号 一连三个问号
*连连四个都这样 一连四个都这样
小结:由上述例子可知,“一连”可以直接修饰数量词,表示时间长、频率高等意义;而
“连连”不能修饰数量词。这也验证了“一连”与数量词的关系密切,以及“连连”与数量
词的不兼容。
(6) 与助词“地”的搭配限制
结构助词“地”是状语的标志,副词作状语修饰动词时,有的可加“地”,有的不能加
“地”。单音节副词都不能加“地”,双音节副词里也只有一部分可以加“地”。下面我们
来考察“连连”和“一连”分别能否加“地”。
连连地点头 *一连地点(三下)头
连连地咳嗽 *一连地咳嗽(七八声)
连连地称赞 *一连地称赞(好几次)
连连地下雨 *一连地下(十几天)雨
连连地获胜 *一连地获胜(五次)
连连地亏损 *一连地亏损(数百万元)
连连地发动快攻 *一连地发动(三次)快攻
连连地发生意外 *一连地发生(多次)意外
小结:由上述例子可知,副词“一连”不能带“地”;“连连”可以带“地”,但加不加
“地”在意义上没有区别,仅在节奏上有些不同,“地”后可略有停顿。
(7) 能否作谓语
“连连”和“一连”是否只能作为副词,充当状语,还有没有其它的词类特征和句法功
能?下面我们来进行考察。
意外连连 *意外一连
好运连连 *好运一连
笑声连连 *笑声一连
抱怨连连 *抱怨一连
恶梦连连 *恶梦一连
尖叫连连 *尖叫一连
失误连连 *失误一连
亏损连连 *亏损一连
小结:由上述例子可知,除了作状语外,“连连”还可作为状态不及物动词,放在名词或动
词后直接作谓语,表示动作、行为连续出现;而“一连”不可单独放在所修饰的词后面作谓
语。
简单将“连连”和“一连”的分布比较列表如下:
连连 一连
(1)直接修饰单个动词 + --
(2)修饰带数量词的动词短语 --/? +
(3)与助词“着”的搭配限制 + --
(4)与助词“了”、“过”的搭配限制 --/? +
(5)直接修饰数量词 -- +
(6)与助词“地”的搭配限制 + --
(7)能否作谓语 + --
总结:
在以上的分析中,(1)~(5)联系较密切,都与数量词有关。我们是否可以这样来解
释:
使用“连连”时,着眼点在动作的过程中(或者说在事件的内部),因此可以加表示动
作正在进行的助词“着”,但不能加表示结束的“了”和“过”;也正因为着眼于过程,动
作还没结束,所以无法得知确切的数量(所能感觉到的也仅是约数),因此不能和表示确数
的数量词相搭配。
而使用“一连”时,着眼点在动作的结束(或者说在事件的外部),因此可以加表示结
束的助词“了”和“过”,但不能加“着”;这时把连续发生的动作作为一个整体来看,整
个事件已经结束了,所以能够得出具体的数量,因此能和表示确数的数量词相搭配;并且,
“一连”要求一定要用具体数量来说明整个事件:频率高到什么程度、持续时间长到什么程
度,等等。
此外,“连连”可加助词“地”,“一连”不能带“地”。“连连”可作为状态不及物
动词,放在名词或动词后面直接作谓语;而“一连”不可单独放在所修饰的词后面作谓语。
台湾中央研究院“现代汉语平衡语料库”
《现代汉语虚词例释》,商务印书馆,1982年
吕叔湘:《现代汉语八百词》(增订本),商务印书馆,2000年
侯学超:《现代汉语虚词词典》,北京大学出版社,1998年
朱德熙:《语法讲义》,商务印书馆,1982年
马 真:《关于虚词的研究》,《语法研究入门》,商务印书馆,1999年
金立鑫:《“着”、“了”、“过”的时体意义、语法难度、使用频率及其教学顺序》,
2002年
接连
jiēlián
[repeatedly;successively;in a row;on end]∶连续不断地
接连好几天
[in succession]∶一个接一个地;一次接一次地
接连不断地传来好消息
连连
1.接连不断。《庄子·骈拇》:“则仁义又奚连连如胶漆纆索,而游乎道德之闲为哉!” 成玄英 疏:“连连,犹接续也。” 汉 陈琳 《饮马长城窟行》:“ 长城 何连连,连连三千里。”《警世通言·杜十娘怒沉百宝箱》:“ 李甲 连连作揖。” 茅盾 《林家铺子》二:“那 朱三太 连连摇手,就在铺面里的一张椅子上坐了。”
2.犹涟涟。《全唐诗》卷八六二载《醉吟》:“一旦形羸又发白,旧游空使泪连连。”《敦煌变文集·丑女缘起》:“珠泪连连怨复嗟,一种为人面貌差。”
◎ 一连 yīlián
[in succession;in a row;running] 连续,一连串
一连三年获得丰收
수사는 특정한 언어 환경에서 적절한 언어수단을 상용하여 이상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전달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규율이다. 수사는 다음의 3가지 측면이 있다.
첫째, 수사의 목표는 이상적인 전달효과를 추구하는 것이며, 언어표현을 더욱 적절, 정확, 명확, 생동감있게 하는데 있다.
둘째, 이상적인 전달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각종 언어수단을 사용하여야 한다.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여 다듬거나 적절한 문형을 선택하여 변환시키는 것뿐 아니라, 수사방식과 문체, 표현방식을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셋째, 수사는 특정한 언어 환경에서 벗어날 수 없다. 언어 환경은 언어가 사용되는 환경을 말하며, 사회문화 환경, 교제 상황, 그리고 문맥이 이에 속한다.
1. 비유(比喻)
비유란 서로 비슷한 사물을 비유하여 사물을 묘사하거나 도리를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비유된 사물을 ‘본체(本体)’라 하며, 비유한 사물을 ‘비유체(喻体)’, 본체와 비유체 사이에 관련된 사어(词语)를 ‘비유어(喻词)’라 한다.
月光如流水,静静地泻在荷花和荷叶上。
달빛은 흐르는 물처럼, 조용히 연꽃과 연꽃잎 위에 쏟아진다.
'月光'은 비유된 사물로 본체이며, '流水'는 비유한 사물로 비유체이다. 본체와 비유체를 연결하는 '如'는 비유어(喻词)이다.
비유의 종류로는 명유(明喻), 암유(暗喻), 차유(借喻)가 있다.
(1)명유
명유는 구성방식은 본체, 비유체 모두 출현한다. 문장의 중간에 【像,如,似,仿佛,犹如,有如,一般】 등의 비유어(喻词)를 사용한다.
春天像刚落地的娃娃,从头到脚都是新的。
봄은 막 이 세상에 태어난 어린애처럼 머리부터 발끝까지 새롭다.
(2)암유
암유는 은유(隐喻)라고도 하며 본체, 비유체(喻体) 모두 출현한다. 문장의 중간에 【是,变成,成为,等于】 등의 비유어를 사용한다.
儿童是祖国的花朵。
어린아이는 조국의 꽃봉오리이다.
(3)차유
본체(本体)가 출현하지 않으므로, 비유체(喻体)로써 직접 본체를 대신한다.
我抬头看见母亲的双鬓又添了一些银丝。
나는 고개를 들었을 때 어머님의 흰머리가 또 하나 늘어난 것을 보았다.
2. 비의(比拟)
비의란 상상에 근거하여 사물을 사람으로, 사람을 사물로 삼거나, 갑을 을로 묘사하는 것을 말한다. 비의(比拟)된 사물을 본체(本体)라고 하고, 비의(比拟)한 사물을 의체(拟体)라 한다.
비의의 종류로는 의인(拟人)과 의물(拟物)이 있다.
(1)의인
사물을 사람으로 묘사하는 것을 말한다.
春风放胆来梳柳。
봄바람은 용감하게 버들잎 빗질한다.
(2)의물
사람을 사물로 묘사하거나, 사람으로 하여금 사물의 정태나 동작을 하게 하는 수사법이다.
咱老实,才有恶霸,咱们敢动刀,恶霸就得夹(jia1)着尾巴跑。
우리와 같은 착한 사람이 있으니까 악당도 있기 마련이지. 우리들이 칼을 들면 악당들은 꼬리를 감추고 도망갈 거야.
3. 차대(借代)
차대란 사람이나 사물의 명칭을 직접 말하지 않고,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명칭을 빌려서 대신하는 것을 차대(借代) 또는 환명(换名)이라 한다. 대체되는 사물을 '본체(本体)'라고 하고, 대체하는 사물을 '차용체(借体)'라 한다.
先生,给现钱,袁世凯,不行吗?
선생, 원스카이 동전으로 주셔요. 안 됩니까?
☛ 어떤 특징으로 본체를 대시하였으며, 원스카이의 초상화가 1원을 대신하고 있다.
买二斤绍兴。
두 근의 사오싱을 산다.
☛ 산지(产地)로 본체를 대신하고 있다. 绍兴은 绍兴酒의 산지이다.
4. 과장(夸张)
과장이란 사실을 일부러 과장하거나, 객관적인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확대나 축소하여 묘사하는 것을 말한다.
隔壁千家醉。술 향기는 이웃의 천집을 취하게 하며,
开坛十里香。항아리를 여니 십리에 향기가 퍼지네.
5. 배비(排比)
배비란 구조가 서로 같거나 어기(语气)가 일치하며, 의미적으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 문장이나 문장성분을 나란히 배열하는 수사법을 말한다. 배비 수사법은 어세(语势)를 강하게 하고, 감정을 깊게 할 수 있다.
溪流时而宽,时而窄,时而缓,时而急.........
시냇물의 흐름은 때로는 넓고, 때로는 좁으며, 때로는 느리게, 때로는 급하게 흐른다....
6. 대우 (对偶)
대우는 구조가 같거나 자수가 같은 문장이다. 의미적으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 단어나 문장을 대칭하게 배열한 수사법을 말한다. 형식적으로 음절이 가지런하고, 내용적으로 뜻이 집중되어 있다.
泰山不辞抔土才能就其高,河海不择细流方可成其大。
태산은 한 줌의 흙도 거절하지 않아 그 높이가 될 수 있었고,
황하는 작은 개울도 가리지 않아 그 크기가 될 수 있었다.
배비와 대우의 구별
배비
(1) 배비는 3개나 3개 이상의 문장을 평행되게 배열한다.
(2) 배비의 형식은 대우만큼 엄격하지 않다.
(3) 배비는 종종 서로 같은 사어를 사용한다.
대우
(1) 대우는 단지 2개의 문장에 제한된다.
(2) 대우의 두 문장의 자수는 반드시 같아야 한다.
(3) 서로 같은 사어를 사용할 수 없다.
7. 반복 (反复)
반복이란 의미나 감정을 강조하기 위해, 특별히 어떤 단어나 문장을 중복하는 수사법을 말한다.
风雪一天比一天大,人们的干劲一天比一天猛,砍下的毛竹一天比一天堆得高........
눈바람은 나날이 세지는 데, 사람들의 일하려는 열정은 나날이 맹렬해지며, 쪼개 놓은 대나무는 나날이 높에 쌓이네...
8. 상징 (象征)
예술 창작의 기본 수사법 중의 하나다. 어떤 구체적인 사물의 외적 특징을 이용하여 예술가의 심오한 사상을 표현하거나 특수 의미, 도리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상징의 본체와 상징체 사이에 필연적인 관계가 없지만 예술가들이 본체의 특징을 대한 묘사를 통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상징체를 연상하게 한다. 한편, 전통 습관이나 사회 풍습에 따라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사물을 본체로 삼아도 특수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어,
红色象征喜庆、
白色象征哀悼、
喜鹊象征吉祥、
乌鸦象征厄运、
鸽子象征和平,
鸳鸯象征爱情等。
9. 押韵
시(詩)와 같은 운문에서 행의 처음과 행의 끝, 행간 휴지(休止) 등에 비슷한 음 혹은 같은 음을 반복해서 문장을 정비하는 수사법.
행의 첫음에서 반복되는 것이 두운, 끝음에서 반복되는 것이 각운인데, 이것이 좁은 뜻의 압운이다. 이것은 옛날의 영시에서도 기조를 이루는 수사법으로서
“Twinkle twinkle little star, How I wonder what you are! Above the world so high, Like a diamond in the sky”
에서 star와 are, high와 sky는 모두 행 끝에서 같은 음이 반복되는 것이다.
한시(汉诗)에서도 마찬가지여서
“白发三千丈, 缘愁似个长, 不知明镜里, 何处得秋霜”
에서의 ‘长’과 ‘霜’ 역시 행 끝에서 같은 음이 반복된 것이다. 이때에 어미(语尾)의 자운(子韵)만이 같은 것이 자운(consonance)이고 high와 sky같이 모음만이 같고 자음이 다른 것이 모운(母韵)이다.
본교2학년 비즈니스 중국어: (반드시 12월10일전까지 제출해야 함)
과제: 11-15과 본문(대화, 독해), 단어 한번 쓰기.
보고서: 두 제목을 A4용지 한페이지로 작성.
(1)제12과에서는 광고에 대한 중국인의 심리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한국인들은 광고에 어떤 태도를 가지며, 어떤 광고들이 소비자를 끌어들이는지 글을 써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의 광고에 대한 태도를 비교해 보세요. (중국어로)
(2)중국어로 상품 광고를 만들어 보세요. 이 광고의 장점과 단점을 써 보세요. (중국어로)
삼성전기 2학년 비즈니스 중국어: (12월2일까지 제출요망)
과제: 7-9과 본문(대화, 독해), 단어 한번 쓰기.
보고서: A4용지 한페이지로 작성. (중국어로)
제9과에서는 외국인이 흥미를 가질 수 있고, 이상하게도 여길 수 있는 중국의 문화와 풍습에 대해 언급하였습니다. 그 외에 자신이 알고 있는 중국의 문화와 풍습을 참고하여 그것들이 한국의 문화, 풍습과 어떻게 다른지, 즉 '문화 차이'에 관해 작문으로 써 보세요.
중급중국어:
과제: 6-9과 본문, 단어 한번쓰기.
보고서: A4용지 한페이지로 작성. (중국어로)
제목: "使我难忘的一件事 (내가 잊을 수 없는 일) "
본교 1학년 교양중국어 :
1). 중국어로 자세히 가족소개하기. (나이, 직업 등등 포함)
2). 중국어 질문에 답하기. (3-5개, 복습자료를 참조) 복습자료 다운로드.